본문 바로가기
영화리뷰

모가디슈_내전 속에서 목숨을 건 필사의 탈출

by 용필언니 2021. 12. 27.
반응형

모가디슈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영화 모가디슈는 소말리아 수도 모가디슈에서 외교관으로 지낸 강신성 대사가 겪은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입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88 서울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뒤 UN 가입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하지만 번번이 실패하고 맙니다. 그러던 중 우리의 UN 가입에 찬성표를 던질 수 있는 아프리카 국가들을 포섭하기 위해 외교활동을 계획합니다. 그중 소말리아 수도인 모가디슈에 외교관들을 파견하여 UN에 가입하기 위해 여러 가지 협상을 합니다. 그러나 그 와중에 소말리아 내전이 발발하여 생사의 갈림길에 놓이게 되고, 외교관 일행은 하나가 되어 목숨을 건 탈출 계획을 시도합니다.

내전으로부터의 급박한 탈출

1991년, 소말리아 수도 모가디슈에 대한민국 대사으로서 파견을 나간 한신성(김윤석)은 외교관 강대진(조인성)과 함께 대한민국의 UN가입을 위해 갖가지 노력을 합니다. 소말리아 대통령과의 면담을 위해 선물을 들고 찾아가던 중 괴한의 습격을 받고 선물을 강탈당하고 맙니다. 그 배후로 북한 대사관측을 의심하게 되고 남북 대사관은 서로 부딪히게 됩니다. 이때 소말리아 정부의 독재에 불만을 품은 시위대가 시내를 덮치고 남북 대사관은 모가디슈에 발이 묶이게 됩니다. 며칠이 지나면 잠잠해질 것 같았던 폭동은 점점 더 심해지고 통신도 끊겨 대한민국 정부와 연결이 되지 않고 아이들과 부녀자들까지 대사관에 고립되게 됩니다. 생사가 오고 가는 긴박한 상황에서 북한 대사관은 무장한 반군들에 의해 포위되고 조금이라도 남아있던 식량과 물건들을 빼앗기게 됩니다. 결국 밖으로 나와 중국 대사관에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찾아가지만 그곳도 이미 반군에 의해 포위가 된 상황이었습니다. 마지막 희망의 끈으로 한국 대사관에 찾아와 받아주기를 요청합니다. 한국은 고민 끝에 문을 열고 그들을 맞아줍니다. 서로가 서로를 의심하고 대치해도 이상하지 않는 상황에서 남한과 북한은 언제든 상대가 배신할지도 모른다는 긴장감에 서로 경계를 합니다. 하지만 실상은 그저 내전 속에서 죽음의 두려움을 안고 있는 동포일 뿐인데 말입니다. 말도 잘 통하지 않는 아프리카 외딴 나라에서 그나마 서로 말이 통하는 나라, 그 난리 속에서 도움을 청할 수 있는 동포가 있다는 것이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는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얼마나 많은 오해와 편견 속에서 으르렁대며 살아왔는지 서로는 그저 반갑지 않은 불편한 존재일 뿐입니다.  남북한은 이 순간만은 원수가 아닌 서로 협력하자고, 일단 살고 보자고 동맹을 맺습니다. 남북한 대사관은 더 이상 모가디슈에 남을 수 없다는 판단을 내리고 탈출을 계획합니다. 한신성 대사는 이탈리아 대사관을 찾아가 도움을 청하고, 북한 림용수 대사는 이집트 대사관에 찾아가 도움을 요청하기로 합니다. 만약 한쪽만 탈출할 수 있다면, 어떻게 할 거냐는 림용수 대사의 말에 한신성 대사는 한쪽이라도 가야지요라고 말하지만, 흔들리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집트 대사관은 도와줄 수 없다는 답변이 왔고, 이탈리아 대사관은 남측만 도와줄 수 있다는 답변을 듣게 됩니다. 이 때 강대진은 우리만이라도 탈출하자고 하지만, 한신성 대사는 북한 사람 모두 전향한다는 말을 하며 오갈 데 없는 북한 일행과 함께 탈출하는 것을 선택합니다. 

결국 남북한 대사관 직원과 가족들은 이탈리아 대사관의 도움을 받기로 하고 차로 이동하는 중에 반군으로 착각한 정부군의 맹렬한 공격을 받게 되고 북한 한상렬 씨가 사망하게 됩니다. 결국 이탈리아 군용기를 타고 케냐에 무사히 도착하였으나 이내 한 번도 본 적 없는 사람들처럼 각자의 길로 헤어지게 됩니다. 

분단으로 인한 가슴먹먹함

이 영화는 실제 소말리아가 아닌 모로코에서 촬영이 이루어졌으며, 개봉 후 37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합니다. 이번 제42회 청룡영화제에서는 작품상, 감독상, 미술상 등 5개 부분에서 수상을 하며 작품성을 인정받고 영화가 지닌 의미를 다시 되새기게 했습니다.

결말 부분에서 남북한 대사관 사람들은 각자 정부의 눈치를 보며 비행기 안에서 급하게 인사를 하고 헤어집니다. 마치 서로 말이라도 섞는다면 반역자가 되던지 법을 어긴 사람이 되는 것이라 생각했을 것입니다. 이런 결말을 통해 생사고락을 함께 한 남북 사람들의 뜨거운 우정을 느끼면서 한편으로는 냉정하게 눈길조차 마주 치치 못하는 안타까운 현실에 가슴이 먹먹해져 옴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영화와 달리 실존인물인 강신성 대사와 김룡수 대사는 케냐에 도착해서 서로 부둥켜안고 작별인사를 했다고 합니다. 처음엔 서로 대립하며 미워하지만 결국 화합해서 우정을 느끼게 하는 부분은 다른 영화들처럼 뻔한 스토리, 뻔한 감동에 그칠 수도 있었지만, 배우들의 절제된 감정 연기를 통해 분단된 남북한 현실이 더 크게 와닿았습니다. 

목숨을 건 탈출을 감행하며 자동차에 책과 모래주머니로 감싸서 탈출할 때 그 긴박함과 추격당하는 자동차 액션씬은 손에 땀을 쥐게 했고 북한 희생자가 나올 때는 함께 탈출하지 못했다는 안타까움이 느껴졌습니다. 큰 기대감 없이 본 영화였지만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를 좋아하기 때문에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비록 지금도 남북한 사이가 좋지는 않지만, 동포와 갈라져 사는 우리의 현실은 안타깝고 지금도 가족과 헤어진 남북한 이산가족들의 마음은 어떨지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