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89

에너지 캐시백 내용, 신청방법_전기요금 절약하기 에너지 캐시백 제도가 시행된다. 전세계적으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데, 정부에서도 여러 정책을 생각하고 있으며 그 중에 하나가 에너지 캐시백 제도이다. 이웃보다 전기를 덜 쓴만큼 현금으로 돌려주는 제도인데, 전국적으로 시행하는 것은 아니고, 세종, 전남 나주, 충북 진천 등 3개 혁신도시에서 시범적으로 실시한다. 에너지 캐시백이란? 해당 사업에 참여한 아파트 단지, 가구와 비교해서 전기를 덜 쓴만큼 절약된 전기 사용량에 대해 현금을 지급하는 에너지 절감 인센티브 프로그램이다. 에너지도 절약하고 현금도 지급받고 '꿩먹고 알먹는' 프로그램이라서 많이 참여하면 좋을 듯하다. 이 사업으로 사업부는 페트병 2억 2000만개를 생산,폐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을 만큼의 효과가.. 2022. 2. 14.
컬링 규칙 및 방법, 점수 계산 방법 2022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단연코 주목받는 경기 종목은 컬링이다. 2018년 평창 올림픽에서 혜성같이 등장한 '팀킴'은 대한민국에 은메달이라는 값진 선물을 안겨주었다. 팀킴 멤버는 김은정, 김경애, 김초희, 김선영, 김영미 선수이다. '영미야~'유행어로 유명하다. 그 때부터 컬링이 어떤 스포츠인지, 어떻게 점수를 매기는지 관심갖는 사람들이 많아졌고 폭발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다. 규칙 조차 생소했던 컬링, 이제는 국민 누구나 관심을 가지는 스포츠가 된 만큼 컬링의 규칙, 방법, 득점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컬링이란? 투구자, 스위퍼, 스킵 4명으로 구성된 두 팀이 얼음판 위에서 납작하고 둥근 스톤을 앞으로 밀어 하우스(표적) 안에 들어가게 해서 점수를 얻는 경기이다. 던지는 순서는 나중에 던지는.. 2022. 2. 14.
2021년 귀속 연말정산 제출서류(2) 연말정산을 받기 위해 제출해야 하는 필수 서류들에 대해 이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주택자금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임대차계약서가 필수적입니다. 또한 주택을 분양받은 경우 분양계약서 사본도 제출해야 합니다. 2. 주택마련 저축은 주택청약종합저축을 의미하며 해당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며, 만약 국세청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에서 조회가 안되는 경우에는 금융기관에 문의하여 조치하셔야 합니다. 2022. 2. 13.
2021년 귀속 연말정산 제출서류(1) 발급방법 2021년 귀속 연말정산이 한창입니다. 인적공제를 적용받거나 각종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를 적용 받기 위해서는 해당 요건을 충족하는지 증명할 수 있는 필수 서류들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연말 정산을 제대로 받기 위해서 필요한 필수서류 제출서류가 무엇이 있으며 어디서 발급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가장 기본이 되는 서류는 주민등록등본이며, 주거를 함께하지 않은 가족이 있는 경우 가족관계증명서가 필요합니다. 2. 중도 입사자는 전 직장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이 필요합니다. 3. 장애인 공제를 적용받기 위해서는 장애인증명서 또는 등록증 사본을 첨부해야 합니다. 2022. 2. 13.
2021년 귀속 연말정산 세액계산 흐름도 2021년 귀속 연말정산 대해 전반적으로 알아볼 수 있도록 각종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흐름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연말정산을 하는 이유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근로자의 경우 월급을 받을 때 소득세를 일부 원천징수하고 난 나머지 금액을 개인 급여계좌로 이체받습니다. 이때 원천징수는 각 개인의 급여에 간이세액표에 의한 세율을 적용하여 소득세를 뗀다고 보시면 되는데 이 세액이 정확하게 산정된 금액이 아닌 대략적인 소득세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 해에 연말정산이란 절차를 통해서 각종 공제와 감면을 적용한 정확한 세액을 계산하여 당초에 매월 소득세로 떼었서 냈던 금액의 합과 비교하여 월급 받을 때에 소득세를 더 냈다면 연말정산을 통해 환급을 받는 것이고, 덜 냈다면 추가로 납부하는 것을 .. 2022. 2. 13.
2021년 연말정산 주요 개정사항(2) 2021년 연말정산 관련하여 주요 개정사항에 대해 추가로 알아보자 2020년 2021년 1.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소득공제 1) 기존에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공제한도"를 일시적으로 상향하였던 것을 다시 원래대로 환원하여 총급여 기준에 따라 연 300만원, 연 250만원, 연 200만원으로 개정하였습니다. 2) 소비증가분에 대한 공제 및 추가공제를 한시적으로 신설하여 2021년도에 2020년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의 105%를 초과하여 사용한 금액에 대해서 10% 추가공제하도록 하였습니다. 2. 외국인 기술자에 대한 소득세 감면제도 재설계 1) 외국인 기술자 소득세 감면적용시 인력요건을 강화하고 취업기관을 확대하였습니다. 3. 기부금 세액공제 한시적 확대 1) 소외계층 지원을 통한 코로나19 극복 및 나눔.. 2022. 2. 13.